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mybatis
- spring boot
- OrientalUnity
- DBDocs
- 회고
- spring
- NaverCloudPlatform
- Scheduler
- Naver Cloud Platform
- ngrinder
- Java
- Pinpoint
- 네이버클라우드
- ncloud
- React
- AssertJ
- NCP
- object storage
- F-Lab
- 네이버 클라우드
- NooBLoL
- junit
- Naver Cloud
- 에프랩
- Enum
- navercloud
- Database
- docker
- Thymeleaf
- papago
Archives
- Today
- Total
DevJong12
[Mac]MariaDb 설치 본문
728x90
AWS 프리티어끝난김에.. DB를 본체로 깔아서 사용하려니까..
본체와 연결된 공유기가 이상한지 인터넷선이 이상한지모르겠는데 계속 DNS를 못찾으면서 인터넷의 연결이 자주끊기고
공유기의 포트포워딩이 제대로 안된다...
그래서 DB를 맥북에 로컬로 돌려야한다...... 맥북은 설치법을 몰라서 기록하면서 해봄..
iterm으로 homebrew 사용해서 설치 진행함.
1. 설치
1. 설치
brew install mariadb
2. 서비스 시작
brew services start mariadb
3. 서비스 내리기
brew services stop mariadb
그냥 똑같은 명령어네......
4. 현재 brew로 서비스중인 리스트확인
brew services list
5. ps로 maria 서비스 확인유무
ps -ef | grep maria
2. MariaDB root 계정 생성 및 세팅
- sudo mariadb-secure-installation 입력
-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변경하고 익명 사용자 접근을 막아야함
- Enter current password for root (enter for none):
- 초기 root패스워드가 없으므로 그냥 엔터만 누르면됨.
- Switch to unix_socket authentication [Y/n]
- root패스워드를 사용하기 위해선 n을 입력해야함.
- Change the root password?
- root 패스워드 변경을 할지말지, Y입력으로 변환하기
- 하고서 패스워드설정하면됨. 2번
- Remove anonymous users?[Y/n]
- 익명사용자를 제거할지 말지, 난 Y입력으로 제거함
- Disallow root login remotely? [Y/n]
- root계정의 원격접속 여부 확인 Y는 허용
- Remove test database and access to it? [Y/n]
- oracle의 hr테이블처럼 테스트db가 존재함. 해당 db 를 지울지 말지 물어보는것임.
- Reload privilege tables now? [Y/n]
- 지금까지 설정한것을 적용할지 말지 물어보는것.
3. 접속
...db만들어놨었네....
커맨드는
mysql -u root -p 그대로 사용하면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