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CP
- Naver Cloud Platform
- Pinpoint
- mybatis
- spring boot
- object storage
- AssertJ
- docker
- ncloud
- 네이버 클라우드
- Enum
- Java
- ngrinder
- 네이버클라우드
- React
- DBDocs
- 에프랩
- navercloud
- F-Lab
- OrientalUnity
- Naver Cloud
- Scheduler
- Database
- NaverCloudPlatform
- NooBLoL
- 회고
- papago
- junit
- spring
- Thymeleaf
- Today
- Total
목록Java,Spring/F-Lab (7)
DevJong12
이번주 월요일, 22. 10. 31부로 F-Lab 멘토링 프로그램의 종료를 하였다. 처음 F-Lab을 시작했을때는 와 6개월 너무 긴데 끝낼수있나? 라는 생각을 했었다. 더군다나 멘토링 초기에 멘토님께서 DeepDive하게 물어보는 질문들을 받을 때는 이거 완주 가능할까...? 인 생각 뿐이었고, 멘티가 없이 단독으로 멘토님과 단독으로 멘토링을 진행하다 보니 더 많은 노력이 필요했었던 것 같다. 해당 문제와 관련해서는 프로젝트에서 아쉬움이 남는데 아래에 기록하기로 한다. 멘토링이 끝이 났다는게 정말 기쁘긴 하지만 나 자신한테 많이 아쉽고 한심하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멘토링을 신청하게 된 계기 내가 F-Lab을 수강하게 된 계기는 내가 Java개발자로 일을 하는데 코어 지식을 너무 모른다는 생각을 많이..
이번 멘토링의 주제는 JSP와 관련한 주제로 챕터 1 ~ 4 JSP의 전반적인 이해 챕터 9의 쿠키 총 5개의 챕터를 학습하고 멘토링을 진행한 주제이다. 22. 06. 14 ~ 22. 06. 27 총 2주간 최범균의 JSP 2.3 웹프로그래밍 기초부터 중급까지를 읽고 멘토링을 진행예정이다. [Request, Response를 WAS에서 어떠한 역할이 진행되는지?] Request 웹 브라우저가 웹서버(was, tomcat)에 HTML요청할 때 사용할 데이터 구성 규칙 해당 데이터들로 서블릿에서는 로직을 실행하는 등의 기능실행이 가능 Response 웹 서버가 웹 브라우저에 HTML등을 전송할 때 사용할 데이터 구성 규칙 [JSP페이지에서의 주석과 관련하여..] 주석의 경우에는 개발을 진행하면서 내용을 남기..
다음 수업까지 책을 다 읽어보겠다고 내가 약속을 하여.. 먼저 읽다보니 Article의 작성이 많이 늦어졌다. 일단 고민중이었던게 알고리즘 스터디와 관련해서였다. 과거에도 공부를 하면서 언어의 유리함은 Python이나 C++이 좀 더 유리하지 않나 라는 생각을 주로 했어서, 알고리즘의 경우 코테의 통과만을 위해서라도 변경하는게 좋지 않을지 물어봤었다. 들었던 말이 다른언어로 해도 상관은 없으나, 다시 자바에서 유사한 알고리즘을 사용하거나 할 경우 작성만 할 수 있다면 상관없을 거라는 의견을 받았다. 의견을 받고 든 생각은 일단 자바부터 확실하게 익히자는 생각을 하게 되었고, Java를 베이스로 스터디를 시작해보고자 한다. [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 처음 들었을 때 어떠한..
[System.exit, System.GC를 사용하면 안되는 이유] exit System.exit Runtime.exit shutdown.exit shutdown.halt0 실행 exit의 경우 위의 stack으로 실행이 된다. halt의 경우에는 JVM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한는 메소드로, exit를 실행시 JVM을 종료하게 되는 것.. 운영중에 내가 만든기능으로 서비스가 종료하게 되는 결과가 발생하는 것. GC GC는 GarbageCollector를 인위적으로 호출한다. 해당 메소드는 Full GC를 실행하는 것 왜 New와 Old영역으로 구분을 하고 Major GC, Full GC로 분리를 했을지 생각을 해보면 좋을 것 같다. Full GC를 인위적으로 실행하는 것인데 그러면 수집이 이뤄지는게 비효율..
F-Lab의 3주차 멘토링을 받았던 질문들에 대해서 정리를 해놓고자 한다. 책을 많이 읽고 가야한다고 생각은 하는데 막상 쉽지가 않은 것 같다.. [동일성과 동등성] 동일하면 동등하지만 동등하다고 동일한 것은 아니다.. 동일성 동일의 의미로 두 개의 객체가 완전히 같은경우 (주소값이 같은 경우) 동등성 동등하다는 의미, 두개의 객체가 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경우(주소값은 다름) ==연산자를 통해 동일한지의 여부를 알수있으며, equals를 통해 동등한지 여부를 확인 가능.. 허나 equals를 통해 모든 것을 다 동등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는없다 Object메소드에서는 동일성확인을 하는 것이기떄문. 오버라이드를 해서 재정의를 해야함. [equals와 해쉬코드의 차이점, 왜 숫자일까] equals는 객체의 ..
Tech 일단 Stack과 힙부터...더 딥하게... https://yaboong.github.io/java/2018/05/26/java-memory-management/ [loop를 사용하게 될 경우 Garbage Collector의 실행관점에서 조심해야 할 이유] 일단 이문제는 가비지 컬렉터가 해당 값을 현재 참조를 하고 있는지 안하고 있는지 판단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부터 찾아봐야 할 것 같다... 음.. 이문제를 처음에는 Stack메모리, Heap메모리를 관련한 부분으로 생각을 해보려고 했다. 근데 그냥 단순하게 무한루프로 반복문을 탈출하지 못하는 상황을 생각해보면 되었던게 아닐까 싶다. 루프를 반복하며, 탈출을 못하게 될 경우 지속적으로 해당 반복문이 실행이 될것이고, 그 의미는 프로세스가 끝나..
단 한시간동안이었지만.. 질문을 받은 부분들이 전부다 생각조차 못해봤던 영역의 문제라 듣기만 해도 멘탈이 바사삭 부셔지긴 했는데 되게 재밌는 시간이었고, 왜 이정도 까지 생각을 못해봤을까 라는 생각을 했다.. 정리를 해주신 것들은 무조건 알아보고자 기록으로 남겨놓는다. 1. Primitive Type과 Reference Type이 Garbage Collector가 동작하게 될 경우 어떻게 작동이 진행 될까요? - 예시로 들어준 것은 int a = 1; Integer a = 1;일 경우 GC에서는 어떻게 동작되는지 내가 봐야할 부분은 선언당시에 JVM의 어느 메모리 영역에 생성이 되는지를 한번 확인해봐야 할 것 같다. - Primitive Type(기본형) 의 경우에는 JVM에서 Stack 메모리에 값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