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eact
- ngrinder
- F-Lab
- NooBLoL
- object storage
- junit
- Thymeleaf
- OrientalUnity
- papago
- Scheduler
- NCP
- 에프랩
- Naver Cloud Platform
- docker
- 네이버클라우드
- spring boot
- spring
- Pinpoint
- mybatis
- Database
- navercloud
- AssertJ
- 네이버 클라우드
- Enum
- DBDocs
- NaverCloudPlatform
- 회고
- Naver Cloud
- ncloud
- Java
- Today
- Total
목록object storage (2)
DevJong12

목차 1️⃣ 글 작성에 앞서... 해당 이슈는 우리 팀이 구현한 사용한 도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일단 FrontEnd의 경우 React를 기반으로 작성을 진행하였으며, 이슈가 발생한 장소는 게시물을 등록하는 곳에서 발생이 되었다. 게시물을 등록시 필자의 팀의 경우에는 에디터를 사용하여 게시물을 등록할 수 있도록 기능 구현을 하였으며, 오픈소스중 하나인 React Quill을 활용하였다. Quill자체에는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기능이 존재하였으나, 이미지를 업로드할때 발생이 되는 이슈사항에 대하여 기록을 해보고자 한다. 2️⃣ ReactQuill와 Quill을 선정한 이유? 1. ReactQuill이란? 공식페이지에서 소개되어있는 내용으로, 긴 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는 에디터라고 설명이 되어있다. 에디..

목차 개발 개요 별다른건 없고..Naver Cloud의 Object Storage를 개별로 Upload Util을 만들걸 생각하니까 머리가 지끈거려와서 공통기능으로 추출해주고 사용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하여 제작하였다. 추가적으로 한개의 버킷에서 dev/~, local/~ 형식으로 경로를 나눠가며 활용을 하고 싶었다. 이에 따른 코드를 공유해 보고자 한다. 의존성 추가 Common-io의 경우 확장자를 편하게 추출하기 위해 활용하였다. 또한 amazone의 aws-java-sdk의 경우 Naver Cloud에서는 Object Storage에서 오픈소스로 제작을 한 부분이다 보니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였다. //File api 'commons-io:commons-io:2.13.0' // Amazon AWS..